본문 바로가기

무:성애(Asexuality)

무성애 사전 - 무성애 모델

* 무:대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무성애 사전입니다. 무성애와 관련된 다양한 항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추후 무:대에서 '무성애 위키'(가칭)를 만들면 사용할 자료입니다. 댓글로 피드백을 주시면 확인하는 대로 답변을 드리고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무성애 모델 (無性愛-, The Model of Asexuality)

 

여기서 ‘무성애 모델’이라는 용어는 두 가지의 의미로 정의된다.

 

1. 성지향성의 스펙트럼에서 무성애가 어떤 식으로 위치하는지를 설명하는 모델.

2. 사람들이 자신을 무성애자로 정체화하는 데 유용한 방향을 제공하는 무성애 모델.


킨제이 척도(- 尺度, Kinsey Scale)

미국의 생물학자이자 동물학자인 알프레드 킨제이가 제시한 성지향성 모델이다. 킨제이는 1948년부터 1953년까지 이른바 ‘킨제이 리포트’라고 묶어서 말하는 <남성의 성적 행동(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과 <여성의 성적 행동(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을 집필하여 발표했다. 그는 이 두 책에서 인간의 성지향성 중 당시에 알려져 있던 이성애와 동성애를 아우르는 척도를 제시했다.


킨제이는 자신이 제시한 척도에서 인간의 성지향성을 0에서 6까지의 숫자로 분류했다. 0은 “완전한 이성애자(Exclusively Heterosexual)”이며, 1~5는 부분적으로 이성애자이거나 부분적으로 동성애자인 사람들이며, 3은 “동성애와 이성애의 정도가 동일한 사람(Equally Heterosexual and Homosexual)”이며, 6은 “완전한 동성애자(Exclusively Homosexual)”이다. (그림 참조.)


그런데 여기서 그는 0에서 6사이에 포함되지 않는 “사회적으로 성적인 관계나 반응이 없는 사람들”(No Socio-sexual Contacts or Reactions)을 ‘X군(Categoty X)'라는 분류군에 포함시켰다. 비록 킨제이가 자신의 저서에서 무성애를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X군’은 무성애의 존재를 간접적이나마 암시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었다. 그래서 오늘날 ‘Kinsey X’ 혹은 ‘X’라는 단어는 무성애를 상징하는 표현이 되었다.


그러나 킨제이 척도는 사람이 느끼는 다양한 끌림의 종류나 끌림의 정도를 분별할 방법을 제시하지 않았다. 킨제이 척도는 오로지 성적끌림을 느끼고 성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들만을 모델 표본의 전제 조건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킨제이는 무성애자를 제대로 다루지 못했고, 앞에서 말했듯이 다만 ‘X'라는 명칭을 붙여 두었을 뿐이었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Kinsey_scale

 

스톰스 모델(-, Storm's Model)

미국의 심리학자인 마이클 스톰스가 제시한 성지향성 모델이다. 스톰스는 1980년 자신의 저서인 <성지향성의 이론체계(Theories of Sexual Orientation)>에서 4가지의 성지향성인 이성애·동성애·양성애·무성애가 어떤 식으로 상호적인 관계를 이루는지를 해명하기 위해 고유한 성지향성 모델을 제시했다.


스톰스 모델은 킨제이 모델의 1차원적인 한계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며, 양극적 차원(Bipolar Dimension)의 2차원 모델을 제시했다. 그리고 X축을 ’동성 에로티시즘(Homo-Eroticism)‘이라 정하고, Y축을 ‘이성 에로티시즘(Hetero-Eroticism)으로 정했다. 스톰스는 이에 기반해 동성애를 좌상단, 양성애를 우상단, 무성애를 좌하단, 이성애를 우하단으로 놓았다.(그림 참조.) 스톰스는 자신이 제시한 모델을 통해 양성애와 무성애를 정밀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스톰스는 자신의 모델을 통해 무성애자들에 대한 흥미로운 예측을 암시했다. 무성애자들은 어떠한 성지향성 모델에서 불가사의하고 변칙적인 존재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유성애자들과 함께 연속선상에 존재한다는 것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스톰스는 무성애를 ‘제 4의 성지향성(The Forth Category of Sexual Orientation)’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스톰스 모델은 이분법적인 젠더(Binaty Gender)를 가진 사람들 사이의 성적끌림만을 설명하고 있으며, 비이분법적인 젠더를 가진 사람들의 존재는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스톰스 모델은 성적끌림과 로맨틱끌림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무성애자들을 성적끌림과 로맨틱끌림 두 개를 모두 느끼지 못하는 정체성으로 상정하고 있다. 오늘날 이러한 견해는 연구자들과 무성애자들에 의해 보완, 보충되었다.

 

(출처: http://www.apositive.org/viewtopic.php?t=57)


집단정체성모델 (集團正體性-, Collective Identity Model)


AVEN의 설립자인 미국의 데이비드 제이(David Jay)가 제시한 무성애 모델이다. 이 모델은 집단정체성의 측면에서 무성애자들을 정의하려고 한다.


집단정체성모델에서 무성애자는 자기 스스로를 “무성애자”라는 용어를 사용해 설명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 모델은 어떤 사람이 자신을 무성애자로 정체화하고 싶은 욕구는, 성애에 대한 생각이 지배적인 문화 속에서 특정한 사회적 위치(Social Position)를 확보하고자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무성애자들은 공통적인 정체성으로 자연스럽게 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집단정체성모델은 누군가가 무성애자이고 무성애자가 아닌지를 나눌 기준을 특정 개인 또는 단체가 정할 권리는 없다고 주장한다. 이 모델은 무성애라는 정체성은 누군가가 만들어낸 개념이 아니라 ‘성애에 대한 관념이 지배적인 사회환경과 무성애자들의 생활방식이 서로 맞지 않아 형성된 자연스러운 결과물’이라는 점을 함의하고 있다.

 

 

참고자료

 

Kinsey, A.; Pomeroy, W.; Martin, C., & Gebhard, P.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Philadelphia: Saunders (1948), ISBN 978-0-253-33412-1.

Kinsey, A.; Pomeroy, W.; Martin, C., & Gebhard, P. Sexual Behavior in the Human Female, Philadelphia: Saunders (1953), ISBN 978-0-253-33411-4.

Wolman, Benjamin B.; Money, John (1993). Handbook of Human Sexuality. J. Aronson. p. 131. ISBN 978-0-87668-775-8.

Kinsey's Heterosexual–Homosexual Rating Scale". The Kinsey Institute. Retrieved 8 September 2011.

Kinsey Sexuality Rating Scale". The Kinsey Institute. Retrieved 2013-12-02.

Kinsey's Heterosexual-Homosexual Rating Scale". The Kinsey Institute. Retrieved September 6, 2012.

Mary Zeiss Stange, Carol K. Oyster, Jane E. Sloan (2011). Encyclopedia of Women in Today's World. Sage Pubns. p. 158. ISBN 978-1-4129-7685-5. Retrieved December 17, 2011.

Michael D. Storms(1980), Theories of Sexual Ori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

http://www.asexuality.org/wiki/index.php?title=Collective_identity_model

http://www.asexuality.org/wiki/index.php?title=Storms%27_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