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성애(Asexuality)

무성애 사전 - 반反성애주의

* 무:대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무성애 사전입니다. 무성애와 관련된 다양한 항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추후 무:대에서 '무성애 위키'(가칭)를 만들면 사용할 자료입니다. 댓글로 피드백을 주시면 확인하는 대로 답변을 드리고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반성애주의 (反性愛主義, Antisexualism, Antisexuality)

 


성애나 성적 행위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거나 피해야 한다고 여기는 신념(AVEN wiki – Antisexual, 2013).


반성애주의를 가진 반성애주의자(Antisexual)들은 성애나 성적 생활을 의식적으로 거부하거나 혐오감을 나타내며, 성애나 성적 생활을 의식적으로 피하거나 관련되지 않게 행동한다. 금욕주의와도 깊은 연관성이 있다.


반성애주의자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어떤 반성애주의자들은 생식과는 관련이 없는 성적 행위는 정신적·육체적으로 좋지 않으며, 성적 행위를 제거한 삶이 도덕적으로 우월하다고 생각한다. 다른 반성애주의자들은 생식을 위한 성적 관계를 포함한 모든 성적 행위를 거부하거나 혐오스럽게 여긴다. 그 밖에도 여러 형태의 반성애주의가 존재한다.

역사적으로 반성애주의는 다양한 이유와 동기로 나타났다. 몇몇 사람들은 종교적인 신념, 사회적인 규범, 학문적인 신조, 개인적인 생각 등의 이유로 반성애주의를 가질 수 있다. 가장 큰 동기는 종교적인 이유로, 세계의 주요 종교인 기독교·이슬람교·불교·시크교 등이 제각기 금욕에 대한 교리를 내세우고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반성애주의의 예시들이 있다. 아래는 그 역사적인 예시들 중 일부이다.

 

 고대 영지주의자(Gnostic, Gnosticism)들 중 일부는 성적쾌락은 악하며, 육체적인 삶의 한계를 초월해 더욱 고차원적인 영적(靈的) 영역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파악했다.

 

 기독교의 전승에 따르면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교부(敎父) 중 한 명인 오리게네스(Origan)는 성적욕구를 억제하고 더욱 영성적인 삶을 살기 위해 스스로 거세를 했다고 한다.

 

 러시아 정교의 이단적인 분파인 거세파(스콥치파, Skoptsy) 신자들은 종교적인 신념에 따라 성적욕구를 억제하기 위해 스스로 거세를 하거나 생식기를 잘라내는 등의 행위를 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플라톤은 노년에 저술한 여러 저서에서 금욕을 중시하는 구절을 집필해 놓았다. 가령 <국가>에는 이런 부분이 있다.


“소포클레스 선생, 성적인 쾌락과 관련해서는 어떠십니까? 선생께서는 아직도 여인과 관계를 가지실 수 있나요?”라고 그 사람이 물었죠. 그러자 그분께서는 “쉿, 이 사람아! 그것에서 벗어났다는 게 정말 더할 수 없이 기쁜 일일세. 흡사 광포한 어떤 주인한테서 도망쳐 나온 것만 같거든.”이라고 대답하시더군요. (...) 노년에 이르러서야 그와 같은 것들에서도 큰 평화와 자유가 완연히 생기게 되니 말입니다. 갖가지의 욕망이 뻗치기를 그만두고 숙어지게 되는 그때에야 소포클레스께서 말씀하신 상태가 완전히 실험되는 것이니, 그건 하고많은 광적인 주인들한테서 풀려나는 것이죠.”

 

 고대 그리스의 철학 분파인 스토아 학파의 창시자인 키티움의 제논(Zeno of Citium)은 성적 금욕에 대한 사상을 자신의 학파에 투영해 성장시켰다.

 

 러시아의 문호인 레프 톨스토이는 청년기에 성적으로 자유로운 생활을 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후에는 성적욕구를 악하고 혐오스럽다고 생각하는 한편 성적쾌락을 거부하는 독실한 기독교인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작품 <고백>, <크로이체르 소나타>, <악마> 등에서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다.

 

 의사였던 존 하비 켈로그 박사는 독실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신자로, 자위를 포함한 생식과 관련이 없는 성적 활동은 건전하지 못하며 심리적·정신적인 면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그는 이에 대한 많은 의학논문을 작성했으며, 미국인들의 육식 습관이 이러한 부정적인 욕구를 늘린다고 생각하여 채식 전파를 위해 시리얼을 개발했다.

 

 


무성애와 반성애주의와의 관계


무성애와 반성애주의는 종종 혼동되고는 하지만 사실은 서로 전혀 관계가 없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무성애는 타인에게 성적끌림을 느끼지 않는 성지향성이다. 성적 행위의 유무는 무성애를 판단하는 데 아무런 지표가 되지 못한다. 성적욕구가 있는 무성애자는 자위행위 등의 성적 행위를 하기도 하며, 이런저런 이유로 타인과의 성적 관계에 참여하는 무성애자도 있기 때문이다.


2. 무성애는 성지향성으로, 타고난 기질과 환경에 의한 영향이 축적되어 확립되는 고유한 성질이다. 그러나 반성애주의는 한 사람이 인생의 어느 때나 선택할 수 있는 사상이나 믿음이다.


3. 반성애주의는 유성애자든 무성애자든 아무나 가질 수 있다. 유성애자나 무성애자나 모두 성적 관계를 혐오할 수 있다.


4. 무성애자가 성애나 성적 활동에 관심이 없는 것과, 반성애주의자들이 성애나 성적 활동을 의식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분명한 차이가 있다.


오랫동안 무성애자 커뮤니티 내에서 무성애와 반성애주의와의 관계는 논란거리였다. 2000년대 초기에 있던 유력한 무성애자 커뮤니티인 ‘인간 아메바를 위한 안식처’(Haven for the Human Amoeba)는 무성애를 반성애주의와 연관시켰다.


미국의 무성애자인 데이비드 제이(David Jay)는 이러한 논리에 반대하여 새로이 AVEN(Asexual Visibility and Education Network)을 세웠으며, 나중에 에이븐을 위시로 섹스긍정주의 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섹스긍정주의 운동이란 무성애자들이 합의 하에 이루어진 모든 성적 관계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자는 내용의 운동이다. 많은 무성애자들이 데이비드 제이의 생각에 동감해 AVEN으로 모였고, 무성애를 반성애주의와 연관시키는 관점은 비판과 수정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무성애자는 섹스를 혐오하거나 성적 행위를 아예 하지 않는 사람으로 인식하곤 한다. AVEN을 포함한 많은 무성애자들은 이러한 생각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무성애자를 반성애주의와 동일시하는 관점은 러시아의 무성애자들이나 무성애자 커뮤니티에 여전히 남아 있다. 러시아의 작가이자 언론인인 미하일 쉬스킨(Michail Schischkin)은 <러시아 문화에 존재하는 성애에 대한 두려움(Die Angst vor der Sexualität in der russischen Kultur)>이라는 칼럼에서 전통적으로 러시아 사회가 성에 대해 터부시한다고 설명했는데, 러시아 무성애자들의 태도는 이러한 경향과 맞물려 있는 듯 하다.

 

 

참고자료

 

John Ince (2005), The politics of lust, Prometheus Books, p. 11

Allena Gabosch, "A Sex Positive Renaissance" (2008-02-26).

AVEN wiki – Antisexual (latest modified on 2013, Oct. 2) http://www.asexuality.org/wiki/index.php?title=Antisexual

Sunshine, Glenn S. (2009). Why You Think the Way You Do: The Story of Western Worldviews from Rome to Home. Zondervan. p. 47. ISBN 9780310292302. Retrieved 2013-08-31.

Kern, Louis J. (1981). An Ordered Love: Sex Roles and Sexuality in Victorian Utopias: The Shakers, the Mormons, and the Oneida community.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ISBN 978-0-8078-1443-7.

O'Shea, Stephen (2000). The Perfect Heresy: The Revolutionary Life and Death of the Medieval Cathars. New York: Walker & Company. ISBN 978-1861972705.

Gopnik, Adam (2006-02-13). "Shining Tree of Life". The New Yorker. Retrieved 2013-08-31.

Engelstein, Laura (1999). Castration and the heavenly kingdom: a Russian folktale.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3676-1.

Lane, Christel (1978). Christian Religion in the Soviet Union: a Sociological Study (Google Books). Albany, N.Y.: SUNY Press. pp. 94–95. ISBN 0-87395-327-4. Retrieved 2007-12-19.

Taormino, Tristan (2004-05-11). "Come for a Cause". The Village Voice. Retrieved 2013-08-31.

Kellogg, J.H. (1888). "Treatment for Self-Abuse and Its Effects". Plain Facts for Old and Young. Ayer Publishing. pp. 294–296. ISBN 9780405058080. Plain Facts for Old and Young (1881 edition) at Project Gutenberg

Michail Schischkin (2002), Die Angst vor der Sexualität in der russischen Kultur, Neue Zurcher Zeitung, 2002-6-1 http://www.nzz.ch/article82W0D-1.397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