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대 번역글/AVENwiki 번역

관계(Relationship)

2020. 8. 16. 아래 내용은 이전 블로그에 있던 글 [링크] 을 새로운 블로그로 옮긴 것입니다. 같은 내용을 이전 블로그에서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Relationship

관계

원문링크: http://wiki.asexuality.org/Relationship

번역 : 백우현, 포뇨

 

검수: 뚜벅쵸, 몽돌, 포인트

무성애자는 자신의 감성적인 욕구(Emotional needs)를 충족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관계를 맺는다. 몇몇은 평범한 관계 구조를 가지지만, 다른 무성애자는 남들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구축하려고 시도한다. 하지만, 관계 구조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무성애자는 여러 관계를 통해 대화, 신뢰, 그리고 애정과 같이 자신에게 중요한 것을 찾는다.

 

끌림

​더 자세한 글: 끌림

 

무성애자는 성적끌림을 느끼지는 않지만, 여러 종류의 다른 끌림들을 느끼며 이런 끌림들을 로맨틱끌림이나 미적끌림 등으로 명명하기도 한다. 이러한 끌림들의 정의가 정확한지에 대해서는 토론의 여지가 있다. 흔히 무성애자들은 로맨틱 무성애자나 무로맨틱 무성애자라고 정체화한다.

관능(Sensuality)

관능은 여러 감각들과 연관이 있는 쾌락이다. 많은 유성애자는 이 단어를 감각이 동반되는 성적 쾌락에만 연관시켜 해석하지만, 관능을 느끼는 데에는 다른 많은 방법이 있다. 몇몇 무성애자는 다른 사람과 성적이지 않은 관능을 즐기기도 한다. 관능은 종종 포옹·키스 혹은 메시지를 주거나 받는 것과 같은 접촉적인 자극을 동반하기도 하지만, 시각적·청각적·미각적·후각적 자극을 관능적(Sensual)하다고 해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름다운 사람을 보는 것을 좋아하는 행위는 시각적 자극을 포함하므로 관능적이라고 볼 수 있다.

 

커뮤니티 중심의 친밀감, 파트너 중심의 친밀감(Community-Based Intimacy, Partner-Based Intimacy)

몇몇 사람은 유로맨틱(Romantic)과 무로맨틱(Aromantic)의 이분법적 사고를 거부한다. 그런 사람들은 이러한 모델은 로맨틱끌림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 의해 정의되곤 했기 때문에 유로맨틱적인 사고로 기울어져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유로맨틱과 무로맨틱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모델은 무로맨틱인 사람이 참가하는 친밀한 관계의 여러 종류를 고려하지 않는다. 많은 무로맨틱은 파트너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욕구를 로맨틱한 느낌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

유로맨틱과 무로맨틱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모델 대신에 제안된 모델 중 하나가 파트너 중심의 친밀감과 커뮤니티 중심의 친밀감 모델이다. 확장해서 보자면, 모든 사람은 삶에서 파트너 중심의 관계와 커뮤니티 중심의 관계를 모두 가지고 있다. 모든 사람은 많은 사람과 많은 관계를 맺고 있고, 이러한 여러 관계 중 하나 혹은 몇몇 관계는 더 많이 발전되어 있으며 한 사람의 삶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모델은 한 사람을 "파트너 중심의 친밀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커뮤니티 중심의 친밀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 중 한 쪽으로 라벨링하지 않고, 한 사람이 관계를 가지는 형태를 설명한다.

 

파트너 중심의 친밀감

 

이 모델에서, 한 사람은 파트너와의 하나의 관계에서 감정적 욕구를 충족한다. 이러한 유형의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 한 사람은 다른 사람과 친밀해지고, 그들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이 되기 위해 노력한다. 이 관계에서는 각자가 그들의 삶을 만들기 시작하는데 관여하게 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된다.

 

파트너 중심의 친밀감에 관계된 사람들은 주로 하나 이상의 관계를 맺는다. 예를 들어, 이 모델을 사용하는 사람은 여러 좋은 친구들, 몇몇 가족 구성원, 그리고 가볍게 아는 많은 사람과 함께 로맨틱한 파트너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그들은 그들이 특별하게 대하는 하나의 관계를 선택하게 된다.

커뮤니티 중심의 친밀감

통상적으로 개인의 파트너에게 갖는 욕구·욕망·바람을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로 귀속시키는 행위이다. 커뮤니티 중심의 친밀감을 느끼는 개인은 자신의 감정적 충족을 수시로 변화하는 관계망을 통해 일차적으로 얻고자 하며, 아이를 기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적 안정을 취하고자 한다.

해당 모델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커뮤니티 구조는 아주 다양하게 변주될 수 있다. 일부는 커뮤니티의 “중추”에 통상적인 파트너십을 위치시킨다. 다른 경우로는 커뮤니티 내에서 핵심적인 관계를 유지하되 “파트너/논파트너”의 구분을 거부하기도 하며, 혹은 아예 중심 관계보다는 커뮤니티의 크기과 다양성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


로맨틱지향성


로맨틱지향성(혹은 애정 지향성(Affectional orientation)이라고도 불린다.)은 성지향성이라는 단어 대신 사용되기도 하는 표현이다. 이 표현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지향성이 단순히 섹슈얼리티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 일부 무성애자는 자신이 감정적인 혹은 로맨틱한 끌림을 느끼는 사람을 묘사할 때 해당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로맨틱한 우정(Romantic Friendship)

 

로맨틱한 우정은 긴밀한 우정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대체로 로맨틱한 관계에서 생성되는 감정적·육체적 친밀함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포옹·키스 혹은 남들 앞에서 애정행각을 하는 것 역시 로맨틱한 우정의 표현 방식에 해당된다. 이런 관계는 19세기 말까지 서구 사회에서 흔히 보이고 용인되었다.

 

 

플라토닉한 관계(Platonic relationship)

 

관계는 로맨틱한 사랑만이 아니라, 플라토닉한 사랑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일컬어 퀴어플라토닉 관계라고 부른다.

모노아모리, 폴리아모리(Monoamory, Polyamory)

 

폴리아모리는 다른 파트너의 동의하에 다른 사람과 친밀한 관계를 동시에 맺는 것을 의미한다. 폴리아모리의 반대말은 모노아모리라고 하며, 단 한 사람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